CloudOps Chronicles

2. 데이터 모델과 성능 본문

SQL

2. 데이터 모델과 성능

쿠르미 2023. 3. 14. 15:08

성능 데이터 모델링 : DB성능향상을 목적으로 설계단계의 데이터 모델링 때부터 정규화,반정규화, 테이블 통합,테이블분활, 조인구조, PK,FK등 여러가지 성능과 관련된 사항이 데이터 모델링에 반영될수 있도록 하는 것

 

분석/설계 단계에서 데이터 모델에 성능을 고려한 데이터 모델링을 수행할 경우 성능저하에 따른 재업무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음. 데이터의 증가가 빠를수록 성능저하에 따른 성능개선비용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된다. 

 

성능 데이터 모델링 고려사항 순서

1. 데이터 모델링을 할 때 정규화를 정확하게 수행

2. DB 용량산정을 수행한다.

3. DB에 발생되는 트랜잭션의 유형을 파악한다.

4. 용량과 트랜잭션의 유형에 따라 반정규화를 수행

5. 이력모델의 조정, PK/FK조정, 슈퍼/서브타입 조정

6. 성능관점에서 데이터 모델을 검증한다.

 

함수적 종속성: 데이터들이 어떤 기준 값에 의해 종속되는 현상

정규화 : 반복적인 데이터를 분리하고 각 데이터가 종속된 테이블에 적절하게 배치되도록 하는 것

-1차 정규화 : 같은 성격, 내용 컬럼이 연속될 때 컬럼 제거, 테이블 생성컬럼 제거 테이블 , 생성

- 2차 정규화 : PK 차 정규화 복합키 구성일 때 부분적 함수 종속 관계 테이블 분리

- 3차 정규화 : PK 차 정규화 가 아닌 일반 컬럼에 의존하는 컬럼 분리

(+) 반정규화 :  정규화된 엔터티 속성 관계에 대해 시스템의 성능향상과 개발과 운영의 단순화를 위해 중복 통합 분리  등을 수행하는 데이터 모델링의 기법

조회 시 디스크 I/O가 많거나 경로가 멀어 조인에 의한 성능 저하를 막기 위해 수행

일반적으로 정규화시 입력 /수정 /삭제 성능이 /향상되며 반정규화시 조인 성능이 향상된다.

 

 

Comments